- 클러스터 : 쿠버네티스의 여러 리소스를 관리하기 위한 집합체
- 노드 : 클러스터 관리 대상으로 등록된 도커 호스트 (컨테이너가 배치되는 대상)
- 마스터 노드 : 클러스터 전체 관리
- 워커 노드 : 배포된 파드가 작동
- 네임스페이스 : 클러스터안의 가상 클러스터
- 기본 가상 네임스페이스
- default
- docker(없을수도 있음)
- kube-public
- kube-system
- 기본 가상 네임스페이스
- 파드 : 컨테이너가 모인 집합체(하나 또는 여러개)
- 같은 파드를 여러개 또는 하나의 노드에 배치 가능
- 한 파드안의 컨테이너는 모두 같은 노드에 배치 --> 파드 하나가 여러노드에 걸쳐 배폴 될 수 없음.
- 레플리카세트 : 똑같은 정의를 갖는 파드를 여러개 생성하고 관리하는 리소스
- 디플로이먼트 : 애플리케이션 배포의 기본 단위, 레플리카세트를 관리하고 다루기 위한 리소스
- 서비스 : 파드의 집합에 대한 경로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리소스
- 인그레스 : 클러스터 외부에 대한 노출과 가상 호스트 및 경로 기반의 정교한 HTTP 라우팅을 위한 리소스
- 잡 : 하나 이상의 파드를 생성해 지정되 ㄴ수의 파드가 정상 종료 시까지 이를 관리하는 리소스로 배치 작업 애플리케이션에 적합
단 한번만 실행됨- restartPolicy : Never(실패시 파드 재성생 후 실행) | OnFailure (실패 시 다시 실행)
- 크론 잡 : 스케줄을 지정해 정기적으로 파드를 실행, Cron처럼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작업에 적합
'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CP] HTTP(S) 로드밸런서 http 에서 https로 리다이렉트 하기 (0) | 2019.11.01 |
---|---|
[GCP]Internal Load Balancer(=AWS NLB) 구축 및 활용 (0) | 2019.10.15 |
nfs +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(0) | 2019.10.08 |
ubuntu16.04 + apache2 + mod_wsgi + python3-flask + gcp sdk (0) | 2019.10.02 |
GKE 클러스터 생성 및 Docker 이미지 배포 (0) | 2019.07.12 |